Yeongjun's Blog
[TIL] 웹 접근성의 개념과 개선 방법에 대해 설명 본문
매일메일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TIL을 작성하려고 한다.
매일메일에서 질문을 받고 해당 질문에 대해 공부하는 방식이다.
매일메일은 기술면접 질문을 매일 메일로 보내주는 서비스이다. 혹시 서비스가 궁금할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해 아래 링크를 첨부한다!
매일메일 - 기술 면접 질문 구독 서비스
기술 면접 질문을 매일매일 메일로 보내드릴게요!
www.maeil-mail.kr
오늘의 질문은 웹 접근성의 개념과 개선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웹 접근성이란?
정보통신접근성 (Web 접근성)은 「지능정보화기본법」에 따라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웹 접근성 준수는 법적의무사항이다.
웹 접근성 준수 고려사항
- 시각
- 실명, 색각 이상,다양한 형태의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 장애
- 이동성
-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없는 상태
- 파킨슨병, 근육병, 뇌성마비, 뇌졸중과 같은 조건으로 인한 근육 속도 저하, 근육 제어 손실로 말미암아 손을 쓰기 어렵거나 쓸 수없는 상태
- 청각
- 영상, 음성 콘텐츠에 자막,원고, 수화등의 대체수단 부제로인한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
- 인지
- 문제 해결과 논리 능력, 집중력,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 지체 및 발달 장애, 학습 장애(난독증, 난산증 등)
[출처]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링크
https://www.wa.or.kr/m1/sub1.asp
웹접근성이란? > WA :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접근성이란? > WA > 웹접근성이란? 정보통신접근성(Web접근성)이란? 정보통신접근성 (Web 접근성)은 「지능정보화기본법」에 따라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
www.wa.or.kr
개선 방법
개선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시멘틱 태그 사용하기
시맨틱 태그 (Semantic Tag)는 포함된 콘텐츠의 특정 의미를 정의하고 목적을 갖는 태그다.
기존 HTML <div> 태그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block element이면서 사이트의 구조(레이아웃)을 설계하기 위해 존재한다. 시맨틱 태그의 요소로는 <header>, <nav>, <article>, <section>, <footer>, <main>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맨틱 태그 요소는 콘텐츠를 논리적 섹션으로 구성하고 각 부분의 역할과 기능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aria-label
상호작용을 하는 요소에 접근자 이름이 없거나, 접근자 이름이 부정확한 경우, 또는 aria-labelledby 속성을 통해 참조되는 DOM 안에 보이는 콘텐츠가 없는 경우에 aria-label 속성은 이 속성이 부여된 상호작용 요소에 지정할 문자열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earchButton aria-label="검색"/>
<img> tag alt 속성
<img> 태그의 alt 속성은 이미지를 보여줄 수 없을 때 해당 이미지를 대체할 텍스트를 명시한다.
이러한 alt 속성은 사용자가 느린 네트워크 환경이나 src 속성값의 오류,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의 사용 등 어떤 이유로든 사용자가 이미지를 볼 수 없을 때 이미지 대신 제공할 대체 정보를 제공한다.
이 방법 외에도 다양한 개선 방법이 있다.
'개발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CSS Flexbox와 Grid의 차이점 (0) | 2024.11.12 |
---|---|
[TIL] SSR(Server Side Rendering)에 대해 설명 (3) | 2024.11.11 |
[TIL] useEffect와 useLayoutEffect의 차이점 (0) | 2024.11.09 |
[TIL] 인터프리터 언어인 JS에서 어떻게 호이스팅이 가능한지? (1) | 2024.11.06 |
[TIL] React에서 index를 key값으로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1) | 2024.11.05 |